맨위로가기

한국국민당 (1981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국민당은 1981년 1월 23일 창당된 대한민국의 정당이다. 구 민주공화당 및 유신정우회 인사들을 중심으로 결성되었으며, 김종철을 초대 총재로 추대했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25석을 얻어 제2야당이 되었으나, 이후 당세가 위축되어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의석을 얻지 못하고 정당 등록이 취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 원내정당 - 민주정의당
    민주정의당은 전두환을 총재로 추대하여 창당, 1980년대 집권 여당으로 군림하다 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에 흡수된 정당이다.
  •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 원내정당 - 신한민주당
    신한민주당은 1985년 창당되어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제1야당으로 부상했으나, 이민우 구상 발표 이후 분열되어 1988년 정당 등록이 취소되었다.
  •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 원내정당 - 평화민주당
    평화민주당은 김대중을 중심으로 1987년 창당되어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제1야당으로 부상하였고, 민주화 운동과 사회 개혁을 추진하다가 신민주연합당으로 당명을 변경, 꼬마민주당과 합당하여 민주당으로 재편되었으며, 2010년 재창당되었으나 2012년 소멸된 정당이다.
  •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 원내정당 - 통일민주당
    통일민주당은 1987년 김영삼과 김대중에 의해 창당되어 김영삼이 총재를 맡았으며, 1987년 대통령 선거에서 낙선하고 1988년 총선에서 59석을 얻었으며, 1990년 민주자유당으로 합당하며 소멸했다.
  • 1981년 설립된 정당 - 민주정의당
    민주정의당은 전두환을 총재로 추대하여 창당, 1980년대 집권 여당으로 군림하다 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에 흡수된 정당이다.
  • 1981년 설립된 정당 - 브라질 민주운동
    브라질 민주운동(MDB)은 군부 독재 시기 유일한 합법 야당으로 활동하다가 브라질 민주 운동당(PMDB)으로 개편되어 다양한 세력을 포괄하는 정당 역할을 수행했으며, 딜마 루세프 대통령 탄핵을 지지하고 당명 변경 및 정책 방향을 제시했으나 혼합주의적 행태로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한국국민당 (1981년)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로고
창당일1981년 1월 23일
해산일1988년 4월 29일
본부서울특별시
이념보수주의 (대한민국)
정치 성향우익
국가대한민국
한글 표기한국국민당
로마자 표기Hangukgukmindang
한자 표기韓國國民黨
약칭국민당
설립자김종철
대표이만섭
최고위원김종철, 이만섭
상징색녹색 (#498c00)
노란색 (#f8c050)
당기
기타
영어 명칭Korean National Party, KNP
관련 기사(4)범여권 사정: 공화·유정·통대의원 출신이 주류(국민당), 중소기업·회사 출신이 절대 다수(신정당)

2. 상세

김종철, 김영광, 이만섭, 이종성 등을 중심으로 당시 일부 구 민주공화당유신정우회계의 인사들이 주축이 되어 1981년 1월 23일 창당발기위원회를 열고 창당되었다.[1] 이후 공화당 당무위원 김종철을 총재로 선출했다.[1] 전두환과 신군부의 정치정화법에 묶였다가 풀려난 정치인 및 정치규제법에 묶이지 않았던 구 공화당유정회 인사들이 국민당으로 입당했다.

1980년 11월 25일, 구 공화당과 신정유회 국회의원 18명이 (가칭) “한국국민당” 결성 결의를 하고 김종철 구 공화당 당무위원을 창당준비위원장으로 선출했다. 같은 해 12월 17일에 창당준비회를, 1981년 1월 27일에 결성대회를 개최하여, 당 총재 및 제12대 대통령 선거 후보로 김종철 창당준비위원장을 추천했다.

구 여당이었던 국정 경험을 기초로 원내 제1당으로 발돋움한다는 목표를 세웠으나 창당 후 3월 25일에 실시된 제11대 총선에서 지역구와 전국구를 합쳐 총 25석을 확보, 민주한국당에 이어 제2야당이 되었다.[1] 그러나 전국정당에는 실패하고 충청권 일부와 영남의 극소수 및 전국구로 만족해야 했으며, 박정희 정권의 경제성장 성과를 바탕으로 홍보에 주력하였으나, 박정희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 역시 국민당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국민당은 그 결성 발기 취지문에서 “극단적인 대립 논리와 정치 부재의 惰性(타성)을 함께 배격하고… (중략) …건전한 정책 정당으로서의 임무를 다하려 한다”고 자신의 역할을 제시했지만, 실제로는 “체제권”( 대한민국 국회 권한의 틀 안) 야당으로서의 활동에 머물렀다.

1985년 구 공화당계 출신 이만섭이 총재가 되었다. 1985년에 실시된 제12대 총선에서는 지역구와 전국구를 합쳐 총 20석을 확보하는 데 그쳐 당세가 위축되었다.

1987년 10월 정치활동금지에서 풀려난 김종필신민주공화당을 창당하자 소속 의원 중 16명이 탈당하여 8명은 신민주공화당에 참여하고 8명은 집권당인 민주정의당에 입당하였다.

그 결과 한국국민당에는 총재 이만섭을 비롯한 4명의 의원만이 남게 되었고 결국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총재 이만섭을 비롯한 후보자 전원이 낙선하여, 정당법에 따라 정당등록이 취소되었다.[2] 이후 당은 신민주공화당에 흡수되었다.

3. 역사

1980년 12월 18일, 전직 국회의원 15명이 민주공화당과 유신 정치연합에서 모임을 가진 후, 1981년 1월 23일에 한국국민당이 창당되었다.[1] 1980년 11월 25일, 구(舊) 공화당과 신정유회 국회의원 18명이 (가칭) “한국국민당” 결성 결의를 하고 김종철 구 공화당 당무위원을 창당준비위원장으로 선출했다. 같은 해 12월 17일에 창당준비회를 열었다. 1981년 1월 27일 창당대회에서 김종철/김종철 (1920년)한국어이 당 총재로 선출되었고,[1] 1981년 2월 대통령 선거의 당 대선 후보로 지명되었으나, 득표율 1.6%로 4명의 후보 중 3위에 그쳤다.

1981년 3월 총선에서 한국국민당은 13.3%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25석(지역구 18석, 전국구 7석)을 얻어 국회 제3당으로 부상했다.[1] 국민당은 그 결성 발기 취지문에서 “극단적인 대립 논리와 정치 부재의 惰性(타성)을 함께 배격하고… (중략) …건전한 정책 정당으로서의 임무를 다하려 한다”고 자신의 역할을 제시했지만, 실제로는 “체제권”( 대한민국 국회 권한의 틀 안) 야당으로서의 활동에 머물렀다.

1985년 총선에서는 9.2%의 득표율로 20석(지역구 15석, 전국구 5석)을 확보하는 데 그쳤다. 1987년 10월, 김종필이 정계에 복귀하면서 16명의 당원들이 탈당하여 신민주공화당을 창당했는데, 8명은 신민주공화당으로, 나머지 8명은 민주정의당에 합류했다. 그 후에도 의원들의 탈당이 잇따랐다.

1988년 총선에서 한국국민당은 0.2%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의석을 전부 잃었다. 총선에서 의석을 확보하지 못하고 득표율 2% 미만을 기록한 정당은 해산된다는 법률에 따라, 1988년 4월 29일 공식 해산되었다.[2]

4. 이념 및 성향

5. 역대 지도부

wikitable


5. 1. 역대 총재

wikitable


6. 역대 전당대회

6. 1. 한국국민당 창당대회

1981년 1월 23일 한국국민당은 정강정책을 채택하고 총재에 김종철 창당준비위원장을 추대한 뒤 대한민국 제12대 대통령 선거 후보로 김종철 총재를 추대했다.

6. 2. 한국국민당 제2차 전당대회

1983년 2월 3일 한국국민당 전당대회는 김종철 총재를 총재로 재추대했다.

6. 3. 한국국민당 제3차 전당대회

1985년 3월 23일, 한국국민당 전당대회는 자유투표로 단일지도체제를 채택하고 2.12 총선 패배로 사퇴한 김종철 전 총재를 대신할 총재 경선에 들어갔다.

득표순위이름득표수득표율비고
1이만섭45643.4%
2최치환18323.4%
총투표수1050



1차 투표 결과 과반 득표자는 없었으나 최치환 후보가 사퇴하면서 이만섭 전 부총재가 총재로 당선되었다.

6. 4. 한국국민당 제4차 전당대회

1987년 4월 30일 한국국민당은 만장일치로 이만섭 총재를 총재로 재추대하였다.

7. 주요 선거 결과

wikitext

선거지도자득표수%의석수순위상태
지역구비례대표총합+/–
1981년김종철/김종철 (1920년)한국어2,147,29313.318725신규3위야당
1985년1,828,7449.21552054위야당
1988년이만섭/이만섭한국어65,0320.2000207위국회 밖


7. 1. 대통령 선거

1981년 2월 25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12대 대통령 선거에서 김종철 후보가 대통령 선거인단 투표 결과 81표(1.6%)를 얻어 3위로 낙선하였다.

7. 2. 국회의원 선거

한국국민당은 1981년 총선에서 2,147,293표(13.3%)를 얻어 지역구 18석, 전국구 7석으로 총 25석을 확보하여 3위를 기록하며 원내 야당이 되었다. 그러나 김종철 총재는 1981년 대통령 선거에서 1.6% 득표에 그쳤다.

1985년 총선에서는 1,828,744표(9.2%)를 득표하여 지역구 15석, 전국구 5석으로 총 20석을 얻었으나, 순위는 4위로 하락했다.

1988년 총선에서는 이만섭 총재 체제 하에 65,032표(0.2%) 득표에 그쳐 원내 의석 확보에 실패했다.

선거지도자득표수%의석수순위상태
지역구비례대표총합+/–
1981년김종철/김종철 (1920년)한국어2,147,29313.318725신규3위
1985년1,828,7449.215520 54위
1988년이만섭}}65,0320.2000


8. 역대 정당 당원

wikitext

참조

[1] 서적 Political parties of Asia and the Pacific Greenwood Press 1985
[2] 웹사이트 大韓民國選擧史 http://goodofall.org[...]
[3] 웹인용 (4)범여권 사정: 공화·유정·통대의원 출신이 주류(국민당), 중소기업·회사 출신이 절대 다수(신정당) https://www.joongang[...] 2019-03-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